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

ARP, GARP Gratuitous ARP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토대로 mac주소를 알아낼 때 사용 2,3, 계층 프로토콜 #GARP(Gratuitous ARP) : ip 주소 할당 시 본인 포함한 네트워크(같은 서브넷 마스크)에 ARP 신호를 보내 신호 유무를 통해 ip의 중복을 확인하는 프로토콜 -IP 주소 충돌 감지 -ARP Table 갱신 -VRRP/HSRP GARP 설명 https://m.blog.naver.com/hanajava/221643742684 2021. 12. 27.
L3 스위치 #L3 스위치 : 3계층에서 IP를 다루는 스위치 라우터와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스위치와 연결된 부분은 스위치 처럼, 라우터와 연결된 부분은 라우터 처럼 설정을 해주면 된다. 따라서 라우터와 연결된 부분은 스위치 포트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설정해야 하고, 스위치와 연결된 포트는 trunk 설정을 해주어야 하고, 별도의 SVI 포트를 생성해주어야 한다. 예제) L3스위치의 스위치와 연결된 포트는 스위치처럼 작동하고, 라우터와 연결된 포트는 라우터처럼 작동한다. 따라서 f1/10과 f1/5는 switch mode trunk 설정 외에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다. #R1-ospf 설정 R1(config)#router os 1 ospf로 라우팅, process ID를 1로 설정 R1(config-rou.. 2021. 12. 27.
네트워크 이중화(HSRP) #이중화(중복 구성)의 2가지 목적 1.FailOver (장애극복) (Fail = 실패, 장비의 장애) (Over = 극복) =HA (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을 확보하기위한 설정 2.Load-Balance(부하 분산) (load = 부하) (Balance = 분산) =라운드 로빈(round-robin) : 태스크를 나누어 주는 스케줄링 방법 #네트워크 이중화(HSRP) HSRP(Hot Standby Redundancy Protocol) : standby 하고 있는 라우터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이중화하는 방법 Redundancy = 중복 SVI - Switch Virtual Interface :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인터페이스(L2 스위치, L3 스위치) Track Port : Fai.. 2021. 12. 27.
VMware VM생성 #VM 생성 #설치 타입 선택 #ios 파일 설정 | 추후에 선택하도록 설정 #VM에 설치할 Guest os 선택 !Tips -네트워크 설정 시 Connected, Connect at power on 체크 확인 (불시에 설정이 변경 될 수 있음) -CD롬 연결을 확인, 초기 OS설치시 연결여부 ISO 경로가 맞아야 설치가 가능하다. 2021. 12. 16.
VMware 기본 설정 #Mvware 저장 폴더 설정(C드라이브 최상위 폴더에 vm 폴더 생성) Edit -> preferences -> Default location for virtual machines 경로 설정 #virtual네트워크 설정(VMnet 생성) -생성, 수정 후에는 호스트 PC를 재시작 해야 VMnet이 정상적으로 연결된다. #VMnet1대역 IP, subnetmask 설정, DHCP설정 해제 #NAT대역 IP, subnetmask 설정 변경, DHCP설정 해제 #NAT 설정 변경 -> Gateway 211.183.3.2 2021. 12. 16.
VMware 파일경로, 네트워크 설정 #Mvware 저장 폴더 설정(C드라이브 최상위 폴더에 vm 폴더 생성) Edit -> preferences -> Default location for virtual machines 경로 설정 #virtual네트워크 설정 #VMnet1대역 IP, subnetmask 설정, DHCP설정 해제 #NAT대역 IP, subnetmask 설정 변경, DHCP설정 해제 #NAT 설정 변경 -> Gateway 211.183.3.2 2021. 12. 15.
Destination Nat + VMware 1.VM ware를 통해 내부ip(192.168.1.xx /24 )를 가진 서버를 생성한다. 2.Vmware를 통하여 외부ip(10.xx.xx.xx / 8)를 가진 client를 생성한다.(GUI로 생성) 3.Destination NAT를 통하여 client가 server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보자. #VMnet1(내부 네트워크) 설정 #외부 네트워크 설정 #R1 R1(config)#int f0/0 R1(config-if)#ip add 192.168.1.250 255.255.255.0 ip를 정적으로 설정 R1(config-if)#no shu R1(config-if)#ip nat inside nat inside 포트 설정 R1(config-if)#int f0/1 R1(config-if)#ip add dh.. 2021. 12. 15.
가상화 기초 #가상과 구조 Bare-metal(베어메탈) : 운영체제가 설치 되지 않은 PC, 서버 #PC에 설치된 Vmware 구조 Vmnet8은 vmware 설치 시 NAT 대역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다. NAT 대역은 호스트 PC의 네트워크 대역과 NAT 설정이 되어 있어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 NAT 대역은 xx.xx.xx.2인 IP는 호스트 PC와의 NAT를 위하여 사용된다. Vmnet0은 vmware 설치 시 bridge 대역으로 기본 설정 되어 있다. bridge 대역은 호스트 PC의 네트워크 대역과 bridge 설정이 되어 있어 호스트 PC 대역대와 같다. !!Tips Vmware서 만든 네트워크에서 xx.xx.xx.1의 ip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IP이므로 사용할 수 없다. 해당 ip를 통하여 호스트.. 2021. 12. 15.
L2스위치 - VTP #VTP : VLAN Trunking Protocol -VLAN 정보를 동기화 하는 프로토콜 -여러 대의 스위치를 한꺼번에 동기화 할 수 있다. #VTP의 3가지 모드 본인의 VLAN을 수정 본인의 VLAN을 전송 타인에게 VLAN을 중계 타인에게 받은 VLAN 동기화 서버 Server O O O O 클라이언트 Client X O (타인에게 받은 것) O O 투명 Transparent O X (안 보낸다) O (유리창 처럼 전달만) X 1. 도메인이 같은 스위치끼리 정보를 주고받음.(트렁크 모드로 연결되어 있다면 자동 동기화) 2. 반드시 포트가 트렁크로 되어있어야 한다. 3.Revision Number가 높은 것을 우선 시 한다. (Revision number는 수정사항이 있을 때 마다 1씩 증가) #.. 2021.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