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7 AWS root 계정 MFA 설정하기(멀티 디바이스) 1. AWS 콘솔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2. 우측 상단의 계정 옵션에서 "보안 자격 증명" 메뉴를 선택한다. 3. 멀티 팩터 인증(MFA)를 선택하여 MFA 활성화를 클릭합니다. 4. 가상 MFA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5. QR 코드 표시를 클릭 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QR을 입력합니다. 5-1. 호환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5-2.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어떤 것을 활용해도 괜찮지만 "Twilio Authy"어플리케이션을 추천드립니다. 안드로이드/ios 모두 지원하며, 윈도우와 MAC 환경에서 멀티 디바이스로 활용 가능해서 불가피하게 핸드폰을 쓰지 못할 때 유용합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먼저 MFA등록을 한 뒤에 데스크톱에서 어카운트를 등록하면 됩니다. 해당 앱에서 계정 추.. 2022. 6. 7. NCP 공인교육 - Associate(VPC Platform) !! 해당 글은 edwith의 NCP 강의를 정리한 글 입니다. NCP 소개 NCP의 성장과정 NCP는 초기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시작 초기 기업들을 대상으로 프라이빗 성격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이후 다양한 매니지드 서비스들을 보유한 NCP 2.0으로 거듭남 공공 클라우드 공공클라우드 전용 플랫폼을 제공 공공 클라우드 인증 받은 상품만 제공하여 제한적 클라우드의 이점 데브옵스, 부가상품을 이용한 비용절감 빠른 인프라 구성을 통한 빠른 Deploy 글로벌 리전을 활용한 손쉬운 글로벌 진출 인프라에 대한 보안을 클라우드 공급 업체에 위임 NCP의 이점 사용하기 쉬운 UX 기술 블로그, Youtube를 통한 관련 기술 제공 NCP 상품 의존성 존 의존 상품 서버, Subnet 등 VPC 의존 상품 ACG(V.. 2022. 6. 2. NCP Essential !! 해당 글은 edwith의 NCP 강의를 정리한 글 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비용절감 효과 온프레미스 환경을 단순히 클라우드로 옮긴다고 비용 절감이 되지는 않음 데브옵스를 통한 인건비 절감 스케일링 기법들을 통한 최적화 SaaS, PaaS 등 다양한 부가 상품 활용 필요 빠른 Deploy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용이 기존 Legacy 인프라에 비해 빠른 Deployment Global 리전을 활용하여 손쉬운 글로벌 서비스 보안 인프라에 대한 보안은 CSP에 위임 서비스 level에 대한 보안만 신경쓰면 됨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발전과정 공공 클라우드 공공기관의 엄격한 심의 요건을 충족하고, 다수의 보안 인증을 취득하여 안정성 검증 NCP의 경우 공공 서비스에 최.. 2022. 6. 2. 클라우드 인프라 기초 !! 해당 글은 edwith의 NCP 강의를 정리한 글 입니다. 인프라의 정의 IT Infrastructure는 IT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구성요소들의 집합 구성요소로는 서버(컴퓨터), 스위치, 스토리지 와 같은 하드웨어와 운영체제(OS)같은 소프트웨 및 네트워크도 포함 인프라의 역할 기능적 요구사항 시스템이 처리할 일에 대한 내용 비기능적 요구사항 품질 혹은 속성 등에 대한 내용 인프라는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 인프라의 유형 온프레미스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구축 및 운영하는 형태 Private Cloud도 On-Premise 환경에 속한다. 데이터센터의 관리부터 물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까지 관리해야함 Public Cloud CSP에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 및 .. 2022. 6. 2. GCP 빅데이터 및 모니터링 !! 해당 글은 GCP Google Cloud Fundamentals: Core Infrastructure 과정을 정리한 내용 입니다. GCP Bigdata and Machine learning Cloud Dataproc Hadoop 매니지드 서비스 Hadoop은 MapReduce 프로그래밍 모듈을 기반으로 만들어짐 병렬로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고 중간 결과를 reduce함수로 전달하여 처리 Hadoop, Spark, Hive, Pig GCP에서 실행 가능 클러스터를 요청하면 90초 이내 클러스터가 자동으로 생성 처리능령을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 할 수 있다 StackDriver에서 모니터링 가능 Haddop 작업 시작할 때 초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1초단위 과금 이며 최소 1분 이상 사용 사용해야.. 2022. 5. 31. GCP 개발, 배포 및 모니터링 !! 해당 글은 GCP Google Cloud Fundamentals: Core Infrastructure 과정을 정리한 내용 입니다. GCP Developing and Monitoring Cloud Source Repositories 코드 게시를 GCP 프로젝트로 제한, IAM 권한으로 보호 Git 버전 관리를 통해 팀별 앱 및 서비스 개발 지원 Cloud Functions(beta) 서버읭 유지관리 없이 단일 목적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이미지 업로드시 자동으로 리사이징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 프로비저닝 및 컴퓨팅 자원의 상관 없이 Javascript로 작성 되었고 GCP 환경에서 Node.js 환경에서 실행 Deployment Manager GCP 환경의 IaC 도구 GCP 리소스 생성 및 관리를.. 2022. 5. 31. GCP 어플리케이션 !! 해당 글은 GCP Google Cloud Fundamentals: Core Infrastructure 과정을 정리한 내용 입니다. GCP Application App Engine 코드 실행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인프라관리 서비스 웹에 필요한 많은 서비스들이 내장 NoSQL 데이터베이스, 인메모리 캐시, 부하분산, Health check, 로깅, 사용자 인증 등 수신 트래픽 양에 따라 앱을 자동으로 확장 온디멘드 형식의 과금 구조 워크로드가 변동하기 쉽거나 예측이 어려운 웹 앱 및 모바일 앱에 적합 GCP App Engine 표준 환경 유연한 환경보다 배포가 쉽다 세밀한 자동 스케일링이 가능 일부 서비스의 프리티어가 있다. 사용량이 적은 앱은 무료로 실행 할 수 있다. 사용가능 런타임은 특정 .. 2022. 5. 31. GCP 컨테이너 !! 해당 글은 GCP Google Cloud Fundamentals: Core Infrastructure 과정을 정리한 내용 입니다. Container PaaS와 같은 독립적 환경을 토대로 확장성을 가지는 것과 IaaS 환경과 같은 OS 및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을 제공하는 것 GCP에서는 IaaS와 PaaS 사이의 Hybrid 라고 불린다 코드 이식성 향상, OS와 하드웨어 블랙박스로 활용 일반적으로 Docker 라는 컨테이너 런타임 활용 docker를 통해 이미지를 로컬에 빌드할 수 있다 Kubernetes 오픈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 허용된 사용자만 작업 가능 클러스터 안에 마스터와 노드로 구성 VM이 있는 환경에서 어디서든지 구성가능, 하지만 관리가 필요함 Pod는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는 가.. 2022. 5. 31. GCP 스토리지 !! 해당 글은 GCP Google Cloud Fundamentals: Core Infrastructure 과정을 정리한 내용 입니다. GCP Storage 오브젝트 스토리지 데이터 저장시 객체단위로 저장이 되는 스토리지 고유키(URL 형식)로 데이터 주소를 지정 가능 Cloud Storage GCP에서 제공하는 매니지드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 객체를 만드는 것만으로도 내구성과 가용성이 뛰어남 웹사이즈 콘텐츠 아카이브 및 복구데이터 저장, 사용자가 직접 다운로드 저장소 등을 활용 파일 스토리지, 블록스토리지와는 다름 객체는 불변, 내부 위치에서 편집하는 대신 새 객체를 생성 자동으로 암호화 되며 전송중인 데이터 또한 HTTPS로 암호화 다른 GCP 스토리지로 이전 가능 버킷을 통해 데이터 저장, 유저의.. 2022. 5. 25.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