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P : VLAN Trunking Protocol
-VLAN 정보를 동기화 하는 프로토콜
-여러 대의 스위치를 한꺼번에 동기화 할 수 있다.
#VTP의 3가지 모드
본인의 VLAN을 수정 |
본인의 VLAN을 전송 |
타인에게 VLAN을 중계 |
타인에게 받은 VLAN 동기화 |
|
서버 Server |
O | O | O | O |
클라이언트 Client |
X | O (타인에게 받은 것) |
O | O |
투명 Transparent |
O | X (안 보낸다) |
O (유리창 처럼 전달만) |
X |
1. 도메인이 같은 스위치끼리 정보를 주고받음.(트렁크 모드로 연결되어 있다면 자동 동기화)
2. 반드시 포트가 트렁크로 되어있어야 한다.
3.Revision Number가 높은 것을 우선 시 한다. (Revision number는 수정사항이 있을 때 마다 1씩 증가)
#VTP 설정 명령어
SW3(config)#vtp domain kedu | 도메인을 kedu로 설정 |
SW3(config)#do sh vtp status |
#vtp 모드 설정
SW1(config)#vtp mode server SW2(config)#vtp mode transparent SW3(config)#vtp mode client |
vtp 모드 설정 |
#vtp 설정 확인
SW2(config)#do sh vtp status |
!!Tips
스위치간 연결을 마친 후 첫 vtp 도메인 설정 시 Trunk로 연결된 스위치의 경우 모두 동기화 된다.
따라서 모든 sw trunk 연결 후 도메인 id를 설정하면 정상적으로 trunk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연습문제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3 스위치 (0) | 2021.12.27 |
---|---|
네트워크 이중화(HSRP) (0) | 2021.12.27 |
L2스위치 - 이더채널 (0) | 2021.12.15 |
L2 스위치 - STP (0) | 2021.12.15 |
L2 스위치 - VLAN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