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스위치 : 2계층에서 사용하는 MAC주소를 활용하여 장비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L2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다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다.
#APR : ip주소를 토대로 MAC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 2,3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다.
#MAC 주소 : 4비트씩 12개로 표현된다. 즉, 16진수 12개로 표현.
#MAC Table(Cam table) : L2스위치가 mac주소를 토대로 호스트를 판별하기위해 가지고 있는 테이블
#flooding(플러딩) : L2스위치가 목적지 MAC 주소를 MAC TABLE에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수신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모든 호스트)에 신호를 보낸다. (브로드캐스팅 신호와 비슷하다.) 원하는 호스트를 찾는다면 MAC Table에 MAC주소를 포함한 포트 정보를 저장한다.
#forwarding : 맥테이블에 목적지 정보가 있는 경우 forwarding 해준다.
#transparent bridging(투명성) : 스스로 학습하고 연결해주는 스위치의 특성(앞으로 드러나거나 하지 않고)
#aging : MAC테이블상에 있는 정보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면 스위치의 특성
#Switch 통신 구조
#VLAN 개요
#VLAN : 하나의 물리적 스위치로 여러개의 서브넷을 구성할 때 LAN과 포트를 가상화 하여 사용하는 것
#라우터의 포트 사용방식에 따른 명칭
-legacy : 주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
-Router on a stick :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서브인터페이스로 나누어서 사용
#VLAN이 설정된 스위치들은 각 스위치마다 VLAN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VLAN num 명령어와 exit 명령어를 통하여 등록하고, do sh vlan-s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VTP을 통하여 Trunk 연결이 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동기화 가능하다.
#SW 설정
-vlan 10 설정
SW1(config)#vlan 10 | vlan 10 생성 |
SW1(config-vlan)exit | exit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vlan이 생성되지 않는다!! |
SW1(config)#int f1/10 | |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 포트를 access모드로 변경 |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포트를 vlan 10과 연동 |
-vlan 20 설정
SW1(config)#vlan 20 |
SW1(config-vlan)exit |
SW1(config)#int f1/11 |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0 |
-SW에서 vlan 생성하지 않고 바로 포트와 vlan을 연동하면 자동으로 vlan이 생성되긴 하지만 다른 장비, 환경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vlan을 미리 생성하고 설정해 주는것이 좋다.
-trunk포트 설정
SW1(config)#int f1/0 | |
SW1(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 포트를 모든 vlan으로 포함하도록 trunk 모드로 변경 |
#Router 설정
-메인 인터페이스
R1(config)#int f1/0 | |
R1(config)#no shu | 서브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해선 우선 메인인터페이스 전원을 켜야 한다. |
-vlan 10 설정
R1(config-if)#int f1/0.10 | 서브 인터페이스 선택 |
R1(config-subif)#encapsulation dot1Q 10 | vlan 정보를 포함한 헤더를 캡슐화 하기위한 명령어 |
R1(config-subif)#ip add 192.168.1.250 255.255.255.0 | 서브 인터페이스 ip 입력 |
R1(config-subif)#no shu |
-vlan 20설정
R1(config-subif)#int f1/0.20 | 서브 인터페이스 선택 |
R1(config-subif)#encapsulation dot1Q 20 | vlan 정보를 포함한 헤더를 캡슐화 하기위한 명령어 |
R1(config-subif)#ip add 192.168.2.250 255.255.255.0 | 서브 인터페이스 ip 입력 |
R1(config-subif)#no shu |
#vlan 설정 확인
SW1(config)#do sh vlan-s |
!Tips
-스위치를 가상으로 만들어 실습하게 되면 flash error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해당 경우 SW1>erase flash: 명령어로 flash 초기화가 가능하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2스위치 - 이더채널 (0) | 2021.12.15 |
---|---|
L2 스위치 - STP (0) | 2021.12.15 |
ACL (0) | 2021.12.02 |
DHCP (0) | 2021.11.29 |
공인 IP, 사설 IP (NAT, PAT)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