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1과 PC2를 DHCP로 ip를 받아올 수 있도록 설정해보자
-------------------------------------------------해답---------------------------------------------------------------

먼저 R1, R2, R3는 OSPF로 라우팅이 되어있다고 가정한다.
#R3 : DHCP pool 설정
R3(config)#ip dhcp pool test | DHCP풀을 설정 하고 이름을 test로 한다 |
R3(dhcp-config)#network 172.16.101.0 /24 | 172.16.101.0 /24 대역을 대상으로 정한다 |
R3(dhcp-config)#default-router 172.16.101.250 | DHCP 신호가 나갈 defualt-router(게이트웨이)를 설정한다 |
R3(dhcp-config)#lease infinite | ip 회수시기를 정한다. |
R3(dhcp-config)#dns-server 8.8.8.8 | dns-server를 정해준다. |
#R1 : host의 Discovery 신호를 DHCP 서버로 라우팅
R1(config-if)#int f0/1 | DHCP pool이 적용된 gateway가 있는 포트로 이동 |
R1(config-if)#ip helper-address 2.2.2.67 | 해당 포트의 Discovery 신호를 DHCP 서버로 라우팅해준다. |
!!Tip
helper-address를 사용하는 이유 : pc에서 DHCP신호 중 Discovery 신호는 Broadcast 신호이다. 따라서 해당 신호는 같은 ip 대역인 172.16.101.0 /24 안에서만 전달이된다. 따라서 DHCP 서버인 R3까지 전달이 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가 있는 포트인 R1의 f0/1에서 helper-address명령어를 통하여 pc의 broadcast 신호를
R3까지 전달한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연습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SM + DHCP 연습문제 (0) | 2021.12.02 |
---|---|
동적라우팅(OSPF) 연습문제 (0) | 2021.12.02 |
슈퍼넷팅 연습문제 (0) | 2021.12.02 |
VLSM 연습문제 (0) | 2021.12.02 |
서브넷팅 연습문제3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