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FS(Network File System) : 네트워크로 파일을 공유하는 시스템
구조 | Server <-> Client |
파일위치 | 실제 파일은 nfs-server 에만 존재 |
#nfs-server 설정
yum -y install nfs-utils | nfs 패키지 설치 |
systemctl start nfs-server | nfs 서버 실행 |
systemctl enable nfs-server | 재시작 시에도 nfs |
vi /etc/exports | 허용할 ip와 권할을 설정하는 파일 |
exportfs -r | /etc/exports 에서 변경한 내용을 file system에 반영 |
showmount -e | localhost에서 공유중인 디렉토리와 대역 조회 |
참고: vi /etc/exports 파일 예시
형식 | /[디렉토리명] [IP범위]([권한]) |
예시 | /share 211.183.3.*(rw) |
->/share 라는 디렉토리를 211.183.3.*대역에 존재하는 서버들이 r(읽기), w(쓰기) 권한 부여
#nfs-client 설정
showmount -e [nfs-server ip] | nfs-server로부터 공유되고 있는 디렉토리 조회 예시: showmount -e 211.183.3.30 |
mikdir /remote | 마운트할 폴더 생성 |
mount -t nfs 211.183.3.10:/shared /remote | 211.183.3.10의 /shared 폴더로 /remote파일을 마운트 |
vi /etc/fstab | 재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 파일 |
211.183.3.10:/shared /remote nfs defaults 0 0 | 211.183.3.10:/shared 폴더를 /remote로 재부팅시 자동 마운팅 |
마운트할 원본폴더 마운트 해줄 폴더 파일시스템 덤프 / 마운트 체크 여부(0체크 x, 1체크) |
해당파일 수정 시 오타가 있을 경우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다.
#마운트 조회
df -h | 현재 서버에 마운트된 파일 조회 |
#마운트 해제하기
형식 | umount [대상폴더] |
예시 | umount /rem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