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서버/LINUX

Kick-start

by JDLee 2022. 1. 4.
 

#kick-start : 새로운 vm 생성할 PxE 설치파일을 받아왔을 VM 자원 설정 설치까지 자동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

 

yum -y install system-config-kickstart system-config-keyboard kick-start 설치

1.GUI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2.시간, 언어, 암호설정, 설치후 시스템 재부팅 되도록 설정

3.PxE에서 설정해준 FTP 서버의 주소와 설치될 운영체제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FTP 접속 기본 디렉토리는 /var/ftp 이고, 이미 /var/ftp/pub 이라는 폴더에 운영체제를 복사했다.

 

4.부트로더 : 운영체게 설치 밑작업

5.스왑(swap)이란 가상메모리를 뜻한다. 메모리가 부족할 스토리지를 메모리처럼 사용한다.

 

6.남은 공간은 최상위 디렉토리 공간으로 지정한다.

 

7.최종 설정 확인 /var/ftp 경로에 centos.ks 이름으로 저장

 

 

 

 

8.파일을 열어서 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

vi /var/ftp/centos.ks

%packages

@base

@core

@directory-client

@fonts

@gnome-desktop

@input-methods

@internet-browser

@java-platform

@multimedia

@network-file-system-client

@x11

%end

 

9. vi/var/lib/tftpboot/pxelinux.cfg/default

에서 pub 오른쪽 뒤에 다음을 추가한다.

ks=ftp://211.183.3.60/centos.ks

10. 생성한 vm으로 테스트하여 설치 진행창까지 자동으로 진행된 것을 확인한다.

 

 

!!Tips Swap 설정시 스토리지 구조

'클라우드&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  (0) 2022.01.04
TFTP, PxE  (0) 2021.12.31
FTP  (0) 2021.12.31
DNS  (0)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