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네트워크를 분할표기, 네트워크 규모 표현)
-사용이유 : 공간을 나누어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보안적으로 관리가 쉽도록 하기위해서
시작 IP가 1.1.10.0이고 네트워크 범위가 0~255인 네트워크를 조회하고 싶은 경우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다.
-시작주소= 네트워크 주소 =대표주소
-마지막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시작주소와 마지막주소는 사용 불가능
Net ID : 서브넷 마스크로 고정된 IP주소의 자릿수
ex)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 10.1.1.0의 Net ID는 10.1.x.x
Host ID : Net ID를 제외한 나머지 IP
IP : Net ID + Host ID
서브넷 마스크는 24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앞부분 부터 연속된 1과 0인 부분으로 나뉜다.
서브넷 마스크 | 2진수 변환 | 네트워크 범위 |
0.0.0.0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2^0개로 나뉘어진 네트워크 범위(전체 네트워크) |
128.0.0.0 | 1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2^1개로 나뉘어진 네트워크 범위 |
192.0.0.0 | 11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2^2개로 나뉘어진 네트워크 범위 |
224.0.0.0 | 1111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2^3개로 나뉘어진 네트워크 범위 |
prefix
-서브넷마스크를 1의 개수로 표현
-기본 표현 : 1.1.1.0 255.255.255.0
-prefix 표현 : 1.1.1.0 / 24
(서브넷 마스크가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이므로 1의 개수가 24개 이다.)
#서브넷 마스크 구조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 0 , Prefix = 24
1 1 1 1 1 1 1 1 . 1 1 1 1 1 1 1 1 . 1 1 1 1 1 1 1 . 0 0 0 0 0 0 0 0 0
<----24비트는 네트워크를 구분하는데 사용----> <8비트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
다른방식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설명 : https://blog.naver.com/ghdalswl77/222241089299
네트워크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쓰자! 'Subnet mask', 네트워크를 서브...
blog.naver.com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 마스크 (3) (0) | 2021.11.16 |
---|---|
정적 라우팅 (0) | 2021.11.12 |
서브넷 마스크(2) (0) | 2021.11.08 |
MAC 주소, IP주소 (0) | 2021.11.08 |
OSI 7계층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