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시절 꾸준히 등장하고, 정보처리기사 시험 준비할 때는 계층만 달달 외웠던, 무척 익숙하면서도 볼때마다 낮선 OSI 7계층 이다.
명칭 | 역할 | PDU | |
7계층 | Application(응용) |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데이터를 특정 확장자 형식으로 변환 | Message |
6계층 | Presentation(표현) | 헤더와 트레일러를 활용하여 압축, 파일형태 등의 처리를 위한 정보를 포함 | Message |
5계층 | Session(세션) | 헤더를 통해 세션정보를 포함하여 상위 정보를 캡슐화(Encapsulation) | Message |
4계층 | Transport(전송) | 어떤 방식으로 통신을 할지 결정하는 계층 | Sagment |
3계층 | Network(네트워크) | 외부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계층 | Packet |
2계층 | Data-Link(데이터 링크) | 내부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계층 | Frame |
1계층 | Physical(물리) | 하드웨어 장비 간 연결을 위한 계층 | bit |
#PDU(Protocol Data Unit) : 데이터 압축 단위, 계층별 필요 정보를 위해 압축 or 압축해제
위 그림이 내가 OSI 7계층을 처음 접했을때 이미지와 설명이고, 그 이후로 공부 했을 때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OSI의 계층의 이름과 PDU, 장비를 따로 외운다면 금방 잊게 되고 매번 다시 공부하게 된다.
1계층부터 어떤 식으로 장비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지 이해를 해 나간다면 더욱 직관적이고 기억에 오래 남을 것이다.
+아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MAC주소와 IP주소의 이해가 필요하다.
<MAC주소와 IP주소, https://jdlee-free.tistory.com/21>
먼저 1계층의 장비는 랜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와 랜선이 주요 장비이다. bit 단위로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모두 압축하여 전달한다. 랜선으로 연결된 장비끼리는 모두 bit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이를 위해서 각 장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위해 압축해제, 그리고 다른 장비로 전달하기위해서 압축하는 과정을 거친다.
2계층 장비인 스위치는 Frame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bit로 전송받은 정보를 압축해제하여 MAC주소를 활용한다.
(Frame + MAC주소 ==> bit 데이터)
=L2 스위치
3계층 장비인 라우터는 Packete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bit로 받은 정보를 압축해제 하여 IP주소를 활용한다.
(Packet + IP주소 + MAC주소 ==> bit 데이터)
=L3 스위치
+OSI 장비간 통신 다른 방식 설명 : https://handreamnet.tistory.com/308?category=694966
[Network is Fun!]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는 어렵다? 아니! 한드림넷을 만나면 즐겁다! 10장으로 끝내는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Network is Fun! 네번째 주제는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Network is Fun!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
handreamnet.tistory.com
출처 : 한드림넷
+OSI7 계층은 최근 TCP/IP 4계층으로 간소화 되어 사용되고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전송제어 프로토콜, 신뢰성이 있는 통신, 웹서버 등 정확성이 중요한 글자 형식의 데이터
-Three way handshake : TCP 통신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위한 방법, 신호를 보내고 반응이 있는지 확인
UDP(User Datagram Protocol) : 신뢰성이 없는 통신, 스트리밍, 음성 등 연속성이 중요한 경우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 마스크 (3) (0) | 2021.11.16 |
---|---|
정적 라우팅 (0) | 2021.11.12 |
서브넷 마스크(2) (0) | 2021.11.08 |
서브넷 마스크(1) (0) | 2021.11.08 |
MAC 주소, IP주소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