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라우팅 : Dynamic Routing
Dynamic 1.자동 2.유동
Distance Vector : 속도와 방향(홉카운트와 회선속도)와 라우팅정보(라우팅 테이블)를 주고 받으면서 연결 , 가공된 정보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라우팅 테이블을 토대로 라우팅, 홉카운트만 계산(최대 홉카운트는 15)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향상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홉카운트 + 속도 + 신뢰도 + 지연속도 등등 (주로 내부)
-BGP(Border Gateway Protocol) : 광범위 라우터 설정 , 규모가 크다(주로 외부)
Link State : 연결 상태를 확인하면서 연결, 가공되지 않은 정보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열려있고 짧은 경로 우선, 홉카운트 고려 x , 코스트 고려
# RIP라우팅
-각 라우터마다 연결된 네트워크들을 advertising 하여 라우팅 연결
-hop count가 15이상인 경우 라우팅 테이블에 담을 수 없어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ver1의 경우 라우팅 설정 시 클래스 단위로 슈퍼넷팅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라우팅 시 ver 2로 설정하고 no-auto-summary 명령어를 사용하여 ver1의 오류를 방지한다.
# RIP 라우팅 설정
Router(config)# router rip | #ver 2 , no au |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대표주소) | 네트워크 라우팅 정보를 광고(advertising) 서브넷마스크를 쓰지 않아 클리스 구별만 가능 |
ver1 사용시 위와 같고, Auto Summary 되어 클래스 단위로 슈퍼네팅 된다. |
|
Router(config-router)#ver2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
Auto summary 되지 않게 설정 (ver 2 한정) |
Router(config-router)#passive-interfcae f1/0 | f1/0에 연결된 종단 장비에게 불필요한 패킷 (라우팅테이블)을 전달하는 것을 막는다. |
Router(config)#int lo0 Router(config)#ip add 192.168.1.0 255.255.255.0 |
테스트를 위한 Loopback 인터페이스 설정 |
#Tip
#Metric : 목표통신 까지의 경로를 정할 때 고려하는 값 ex) Rip 프로토콜의 경우 hop count
#Route Poisoning : Rip 프로토콜 에서 Metric값이 16인 경우를 뜻한다. 라우팅이 안된다는 뜻
#224.0.0.9 : rip 프로토콜을 위한 Multicast D클래스 ip
#
#Adminstated Distance: 관리자 우선값, AD값
RIP | 120 |
OSPF | 110 |
EIGRP | 90 |
#Loopback Interface :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는 신호가 되돌아오는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라우팅(OSPF) (0) | 2021.11.22 |
---|---|
동적라우팅(EIGRP) (0) | 2021.11.22 |
슈퍼넷팅 (0) | 2021.11.17 |
VLSM, 불균등 서브넷팅 (0) | 2021.11.17 |
다중 정적 라우팅 (0) | 2021.11.17 |